728x90
반응형
■ 타입주석(type annotation)
변수명 뒤에 변수의 타입을 지정하는 것.
예) let name : string = '이쁜이';
■ 타입추론(type inference)
TSC 가 자동으로 타입을 추론하는 기능으로, JS 와의 호환성을 위해서 존재함.
그러나, 한번 타입이 정해지면 다른 타입의 값은 넣을 수 없음.
let name = 'Pretty';
위 변수 name에는 오직 string 만 넣을 수 있다.
■ 선택속성(optional property)
인터페이스 멤버중에 필수속성이 아니기 때문에,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경우에
변수명 뒤에 '?' 를 붙여서 선택속성을 만들수 있다.
예를 들어
interface IMember {
name: string; // 필수
age: number; //필수
phone?: string; //선택
}
위에 phone 은 선택 속성임.
■ 템플릿 문자열(template string)
백틱(backtick - 키보드 1번키 왼쪽 '~' 와 같이 있는 '`' 기호) 을 사용하여 문자열과 변수를 같이 표현하는 방법.
변수는 ${변수} 형태로 써야 함.
예)
let name : string = '이쁜이'
let outmsg : string = `${name}는 지금 23살 꿈많은 청년입니다`
console.log(outmsg)
728x90
반응형
'IT > Type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여 연산자(rest operator)와 전개 연산자(spread operator) (0) | 2022.10.21 |
---|---|
접근 제한자(access modifier) 와 생성자(constructor), 클래스,인터페이스 (0) | 2022.10.20 |
node 패키지 설치하고, 소스파일 생성하기 (프로젝트 생성 full 버전) (0) | 2022.10.14 |
@types/ 의 의미 - 컴파일러가 라이브러리 함수 사용 검증용 (0) | 2022.10.14 |
ts-node 설치 (0)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