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 뒤에 물음표(?)가 붙는 것은 **옵셔널 체이닝(optional chaining)**이라는 문법입니다.
이 문법은 객체가 `null`이나 `undefined`일 경우에도 에러 없이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javascript 코드에서
let user = null;
console.log(user?.name); // 출력: undefined
위 코드에서 `user?.name`은 `user` 객체가 `null` 또는 `undefined`인 경우에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만약 `?` 없이 `user.name`을 호출하려고 하면,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옵셔널 체이닝을 사용하면 객체의 특정 속성이 존재하지 않거나 객체가 `null` 또는 `undefined`일 때 안전하게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문법은 특히 **데이터 구조가 복잡하거나 API 응답**에 의존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IT > JavaScript와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변수의 호이스팅 let, var, const, TDZ(Temoral Dead Zone) (0) | 2025.03.26 |
---|---|
자바스크립트의 map 메서도 (0) | 2025.03.24 |
배열 삽입 삭제 예제... (0) | 2023.12.08 |
forEach 메서드 사용예 (0) | 2023.12.08 |
for, for...in, for...of 비교 (0) | 2023.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