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OPY : 이미지 파일로 복사하기
CMD : 이미지로부터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최초로 실행할 때 수행. PID 1번을 지정할때 사용.
명령을 USER가 바꿀수 있음. docker run 으로 실행시를 말하는듯.
예) docker run -it -name myping1 centos ping localhist
ping localhost 가 1번 pid 가 되도록 변경하는것.
ENTRYPOINT : 이미지로부터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최초로 실행할 때 수행. PID 1번을 지정할때 사용.
명령을 바꿀수 없음.
-f 는 도커파일의 파일명을 지정하는 옵션이고,
-t 는 생성할 이미지의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
차이점: ENTRYPOINT는 항상 실행이 되고,
CMD는 docker run 명령어를 실행할 때, 변경이 가능
ENTRYPOINT는 컨테이너가 최초에 꼭 실행해야만 하는 명령어가 있을 때,
CMD는 컨테이너 실행 시 시작되는 명령어지만 변경할 수 있을 때 활용
쉘 형식이 아닌 execute 형식을 주로 사용하는이유 : 쉘형식을 쓰면 pid 1 번이 무조건 shell 이 되서.
root@template:~/Lab# ps --forest
PID TTY TIME CMD
193714 pts/2 00:00:00 bash
206329 pts/2 00:00:00 \_ ps
728x90
반응형
'Infra > Docker_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file 작성법4 - ONBUILD 개념잡기 (0) | 2022.07.31 |
---|---|
Dockerfile작성법3 - EXCUTE 방식에서 쉘변수 인식 (0) | 2022.07.31 |
DockerFile 작성법1 (0) | 2022.07.30 |
도커 이미지 올리기 (0) | 2022.07.30 |
docker login (0) | 2022.07.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