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ECMAScript 표준에 따른 기본 자료형은 6가지
- Boolean
- Number
- String
- Null
- Undefined
- Symbol(ES 6에서 추가됨)
- Array : object 형
■ 추가된 자료형
- Any
- Void
- Never
- Unknown
- Enum
- Tuple : object 형
Primitive Type
- 값 자체이지만, JS의 특징으로 인해, 내장함수를 사용가능
- new 타입(값) 형태를 이용해서 래퍼 객체로 만들수 있음
예) 아래는 모두 object 타입이다.
new Boolean(false);
new String('world');
new Number(42);
=========================================
문법 궁금점 - 아래 3가지의 차이점은???
const {remberMe, setRememberMe, setUserAuth, userAuth} = useUser();
const { t: ct } = useTranslation(["common"]);
const [name, setName] = useState("");
궁금한거....다국어 버전 개발시...const { t: ct } 의 의미가는 뭘까?
그냥 변수선언인가? 왜 {} 로 감쌌을까???
const { t: ct } = useTranslation(["common"]);
return <div> { ct("IntroPage") } </div>;
728x90
반응형
'IT > Type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 패키지 설치하고, 소스파일 생성하기 (프로젝트 생성 full 버전) (0) | 2022.10.14 |
---|---|
@types/ 의 의미 - 컴파일러가 라이브러리 함수 사용 검증용 (0) | 2022.10.14 |
ts-node 설치 (0) | 2022.10.14 |
확장자 차이 : ts, tsx (0) | 2022.09.20 |
TypeScript 개발환경 설정및 예제 (0) | 2022.09.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