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IT/Spring Boot60

Web Service? 웹 서비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컴퓨터들 간에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위키피디어) 80포트를 이용하여 이기종간의 시스템과의 통신을 함. 서비스 지향적 분산 컴퓨팅 SOA -> Web Service 2.0 등장. 느슨한 연결(Loose Coupling) XML 유니코드 부호화 사용 (Object 를 주고 받지 않고 XML을 사용) 메시지지향(Message-Oriented) 웹서비스 1세대 스펙 참조글)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snayana&logNo=80172777745 웹서비스 ( SOAP, UDDI, WSDL ) 가 뭘까? 웹서비스 ( SOAP, UDDI, WSDL ) .. 2022. 9. 22.
@PostConstruct 란... 아래글 참고 https://zorba91.tistory.com/223 [Spring] @PostConstruct란?(정의와 장점) 1. @PostConstruct란? @PostConstruct는 의존성 주입이 이루어진 후 초기화를 수행하는 메서드이다. @PostConstruct가 붙은 메서드는 클래스가 service(로직을 탈 때? 로 생각 됨)를 수행하기 전에 발생한다. 이. zorba91.tistory.com 2022. 9. 21.
Lombok 에러 해결법 아래글은 IntelliJ 기준으로 작성된 것임.. 자주 참조할것 같아서...별도로 다른 글의 일부를 카피함.. 06. Lombok - Project Lombok - Lombok 이란? 기본 생성자와 Getter/Setter 를 annotation 으로 자동으로 만들어주는것. - 설치법. File -> Settings -> 검색에서 plugins -> Marketplace -> Lombok 타이핑 - 왼쪽에 Structure 클릭 : 현재 클래스의 구조를 볼수 있음. - 사용법 @Data annotation 을 클래스명 위에 놓는다. 그런데... Lombok 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이유는 플러그인은 설치했지만, gradle 에는 추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build.gradle 파일에 아래 문장을 추.. 2022. 9. 21.
의존 객체 자동 주입-@Resource, @Autowired, @Inject 아래 글이 심플해서, 한번 읽어보자. 의존 객체 자동 주입(Automatic Dependency Injection) https://velog.io/@sungmo738/Resource-Autowired-Inject-%EC%B0%A8%EC%9D%B4 @Resource, @Autowired, @Inject 차이 의존 객체 자동 주입(Automatic Dependency Injection)은 스프링 설정파일에서 혹은 태그로 의존 객체 대상을 명시하지 않아도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동적으로 의존 대상 객체를 찾아 해당 객체에 필요한 velog.io 2022. 9. 21.
728x90
반응형